DB 4

[컴퓨터과학개론]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처리 데이터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현실 세계에서 단순히 수집된 사실/ 값 적절한 처리를 거쳐야만 정보로서 가치를 가짐 정보처리 시스템 데이터를 수집, 조직, 저장하고 정보를 생성, 분배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실세계의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운영하기 위한 기술 파일 처리 시스템 파일 단위의 데이터 저장 및 처리 시스템 정보 표현에서 1차원적인 저장 시스템 각 응용 프로그램이 특정한 응용을 위해 필요한 파일을 독립적으로 소유하고 관리 데이터 종속성(data dependency):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사이의 1:1 상호 의존 관계 → 파일 구성 요소, 접근 방식 등이 변경되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도 함께 변경 데이터 중복성(data redundancy): 한 시스템에 동일 데이터가 여러 ..

CS 2023.12.04

[PostgreSQL] 보안과 백업

보안 보안을 유지한다는 것은, 안전한 곳에 보관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고 제한한다는 것과 같습니다. 보안의 정도는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그리고 누가 얼마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DBMS에서 보인이 이루어지는 구조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할 기본적인 권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인증 단계를 거쳐야합니다. 일반적으로 Id와 Password를 통해 홈페이지에 로그인 하는 방법으로 이 인증 단계를 통과합니다. 인증 단계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했다면 시스템내에서 특정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권한 설정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에 대한 승인이 필요합니다. 권한 설정 단계를 마쳤다면, 사용자는 데..

DataScience 2023.05.31

[PostgreSQL] 트랜잭션

트랜잭션 트랜잭션은 PostgreSQL을 비롯한 DBMS에서 작업 수행의 단위로 쓰이는 논리적인 개념입니다.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 중에 오류가 발생하여 원하는 결과값이 나오지 못할 상황이 되면 트랜잭션은 해당 작업 전체를 취소합니다 .트랜잭션의 개념을 활용하면 단계별로 분리되어 있던 작업이 하나의 작업으로 그룹화됩니다. 즉, 작업 전체가 완벽하게 잘 수행되거나 아니면 아예 수행되지 않거나로 결과가 나뉩니다. 따라서 트랜잭션은 작업 중간의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불일치를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작업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의 특징: ACID 트랜잭션은 네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자성(Atomicity): 작업의 수행은 전체가 다 수행되거나, 아무것도 안되는..

DataScience 2023.05.31

[PostgreSQL] PostgreSQL 기본

데이터베이스는 무엇인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데이터는 현실에 존재하는 사실적인 자료들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도, IQ, 가격 등과 같이 그 자체로는 단순한 사실만을 나타내는 것을 데이터라고 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들이 가치를 가지려면, 이들 사이에 논리적인 연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들을 체계화해서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한 것을 데이터베이스라고 합니다. 통합 데이터: 데이터들이 모여있으면 중복되는 데이터들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한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중복되는 데이터를 줄이하는 것 저장 데이터: 종이에 쓰인 문서나 책 등이 아니라 컴퓨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운영 데이터: 조직을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들이 저장..

DataScience 202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