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의 구성
- 노드: 트리의 항목/트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묶음
- 부모노드-자식노드: 상하 계층구조가 있고 직접적으로 연결된 노드들로서 상위계층의 부모 노드와 하위계층의 자식 노드를 의미함
- 루트 노드: 트리의 최상위 노드(부모가 없는 노드)
- 서브트리: 부모 노드를 삭제하면 생기는 트리들
- 잎 노드: 트리의 맨 끝(바닥)에 있으면서, 자신의 서브트리를 갖지 않는 노드
- 진입/진출 차수
- 루트 노드: 진입 차수 = 0
- 루트를 제외한 모든 노드의 진입 차수: 1
- 잎 노드: 진출 차수 = 0
- 내부 노드와 형제
- 내부 노드: 루트도 아니고 잎도 아닌 노드
- 형제: 같은 부모를 갖는 노드들
- 트리의 레벨
- 노드의 레벨: 루트로부터 그 노드까지 이어진 선(경로)의 길이
- 트리의 깊이: 트리의 레벨에서 가장 큰 값에 1을 더한 것
추상 자료형
- 트리 객체의 정의: 루트 노드를 갖는 유한 리스트
- 연산
- Tree Create() ::= 트리를 생성하고 루트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반환한다.
- Destroy(Tree) ::=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트리의 기억 장소를 시스템에 반환한다.
- Tree Copy_Tree(Tree) ::= 트리를 복사하고 새로 생성한 트리의 루트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반환한다.
- Insert(n) ::= 트리에 노드 n을 삽입한다.
- Delete() ::= 트리에서 노드를 삭제한다. 보통 재구성 단계를 포함한다.
- Search() ::= 트리에서 특정 키 값을 갖는 노드를 찾는다. 찾으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한다.
- Traverse() ::= 트리를 순회하고 방문 순서대로 값을 반환한다.
- Root() ::= 루트 노드 값을 반환한다.
- Parent(n) ::= 노드 n의 부모(값 혹은 포인터)를 반환. n이 루트이면 오류를 반환한다.
- Children() ::= 노드 n의 자식(값 혹은 포인터)를 반환. n이 앞이면 오류를 반환한다.
- IsRoot(n) ::= 노드 n이 루트이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한다.
- IsInternal(n) ::= 노드 n이 내부 노드이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한다.
- IsLeaf(n) ::= 노드 n이 잎이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한다.
- IsEmpty() ::= 트리가 비었으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한다.
- Replace(n, m) ::= 노드 n을 노드 m으로 바꾼다.
이진 트리
- 모든 노드의 차수가 2 이하인 트리
- 수학적으로 이진 트리의 구성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기 쉽고, 컴퓨터 내부에서 구현하기도 효율적임
- 모든 노드가 2개 이하의 자식 노드를 가지므로 일반성을 잃지 않고 오른쪽, 왼쪽이라는 방향 개념을 부여할 수도 있음
- 오른쪽 노드와 왼쪽 노드의 개념적 접근(의미적 관계)도 있음
- 포화 이진 트리: 이진 트리의 각 레벨에서 허용되는 최대 개수 노드를 가지는 트리
- 완전 이진 트리: 높이가 k인 이진 트리가 0 레벨부터 k-2 레벨까지 다 채우고, 마지막 k-1 레벨에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노드들이 차례로 채워진 이진 트리
- 배열을 이용한 이진 트리의 구현: 트리가 완전 이진 트리 또는 포화 이진 트리인 경우 낭비되는 공간이 없어 효율적임
// 포인터를 이용한 이진 트리의 노드 생성
typedef struct node {
struct node *left;
char data
struct node *right;
} node;
이진 트리 연산
- 이진 트리의 순회: 이진 트리의 각 노드를 (빠짐없이 그리고 중복없이) 한 번씩 방문하는 것
- 전위 순회(PLR): 루트노드 - 왼쪽 자식노드(왼쪽 서브트리) - 오른쪽 자식노드(오른쪽 서브트리)
void preorder(node* root) {
if(root != NULL) {
printf("%c", root -> data);
preorder(root -> left);
preorder(root -> right);
}
}
- 후위 순회(LPR): 왼쪽 자식노드 - 오른쪽 자식노드 - 루트노드
void postorder(node* root) {
if(root != NULL) {
postorder(root -> left);
postorder(root -> right);
printf("%c", root -> data);
}
}
- 중위 순회(LRP): 왼쪽 자식노드 - 루트노드 - 오른쪽 자식노드
void postorder(node* root) {
if(root != NULL) {
postorder(root -> left);
postorder(root -> right);
printf("%c", root -> data);
}
}
- 이진 트리의 생성/삽입/삭제
- 일반적인 이진 트리를 생성하는 것은 연결 리스트 연산을 사용함
- 첫 노드를 생성하면 루트 노드가 되고,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려면 연결 리스트의 삽입 연산을 사용함
- 노드를 삭제할 때, 삭제하려는 노드가 잎 노드인 경우는 해당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NULL로 지정하면 됨
- 잎 노드가 아닌 경우에는 삭제하려는 노드의 자식노드에 대한 처리를 추가로 해주어야 함
// 노드 삽입
node *insert(node *here, node *it) {
if(here == NULL) {
here = it;
return NULL;
} else {
node* victim;
victim = here;
*here = *it;
return victim;
}
}
// 개수를 세는 연산
int get_nodeNum(node *root) {
int num = 0;
if(root == NULL) return 0;
else {
num = 1;
num += (get_nodeNum(root -> left) + get_nodeNum(root -> right));
return num;
}
}
// 노드 삭제
node *delete(node *root, node *it, char direction) {
node *parent = searchParent(root, it);
if(parent == NULL) {
printf("삭제 불가!₩n");
return NULL;
} else {
if(direction == 'l') {
parent -> left = NULL;
free(parent -> left);
return it;
} else if(derection == 'r') {
parent -> right = NULL;
free(parent -> right);
return it;
}
else return NULL;
}
}
// 잎 노드의 개수 세는 연산
int get_leafNum(node *root) {
int result = 0;
if(root == NULL) return 0;
else if(root -> left == NULL && root -> right == NULL) return 1;
result += (get_leafNum(root -> left) + get_leafNum(root -> right));
return result;
}
일반 트리를 이진 트리로 변환
일반 트리에 대하여 각 노드의 형제들을 연결하고, 각 노드에 대하여 가장 왼쪽 링크만 남기고 모두 제거한 후, 루트 노드는 반드시 왼쪽 자식노드 하나만 갖도록 함
스레드 트리
- 이진 트리의 노드 순회: 전위 순회, 중위 순회, 후위 순회
- 이진 트리의 노드를 순환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순회할 때, 방문하지 않고 지나쳐 온 노드들은 스택에 저장하여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함
- 스레드 트리: 스레드(순회 방법에 따른 방문 순서를 유지하는 포인터)를 추가하여 트리 순회를 편리하게 한 것
스레드 트리 구현
포인터 필드의 추가
- 스레드를 저장하는 포인터를 추가하는 것
- 왼쪽 스레드 포인터, 왼쪽 자식 포인터, 데이터, 오른쪽 자식 포인터, 오른쪽 스레드 포인터 필드로 노드 구조를 정의함
- 오른쪽 스레드: 정해진 순회 순서에 따른 그 노드의 후속 노드를 가리킴
- 왼쪽 스레드: 그 노드의 선행 노드를 가리킴
// 포인터 필드의 추가
typedef struct tfNode {
struct tfnode *left;
struct tfnode *lthread;
char data;
struct tfnode *right;
struct tfnode *rthread;
} tfnode;
// 추가된 포인터 필드를 이용한 중위 순회 연산
void inorder(tfNode *startNode) {
tfNode *ptr;
ptr = startNode;
while(ptr != NULL) {
printf("%c", ptr -> data);
ptr = ptr -> rthread;
}
}
- 스택을 운영하지 않고도 트리에 속한 모든 노드를 순회할 수 있음
- 하지만 스레드를 위해 추가 기억장소를 사용한다는 부담이 생김
빈 포인터 활용
- 노드의 빈 포인터 필드를 활용: 기존 이진 트리의 노드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노드에 있는 사용하지 않는 포인터(빈 포인터)를 활용하는 방법
- 추가 기억장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음
- 어떤 노드 X에 대해 오른쪽 포인터가 NULL이면 이 포인터를 노드 X의 후행 노드를 가리키도록 함
- 왼쪽 포인터가 NULL이면 노드 X의 선행 노드를 가리키도록 함
- 잎 노드의 빈 포인터 필드의 활용: 이진 트리의 포인터 갯수(노드의 개수를 n개라 가정함) → 왼쪽 서브트리를 가리키는 포인터 n개 + 왼쪽 서브트리를 가리키는 포인터 n개 = 2n개의 포인터
- 노드의 빈 포인터 필드의 활용
- 루트 노드를 제외한 각 노드 개수는 모든 진입 차수가 1이 되므로
- 루트 노드를 제외한 전체 노드, 즉 누군가로부터 가리켜져야 할 노드의 개수: n-1
- (각 노드의) NULL이 아닌 포인터 개수: n-1
- 2n - (n-1) = n+1개의 NULL 포인터가 노드에 존재함
- 각 노드에 대해 포인터가 스레드로 사용 중인지 아니면 서브트리에 대한 포인터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스레드 사용여부 태그 필드가 필요함(삽입/삭제 연산에서 반드시 필요함)
- 전위 순회: 각 노드의 오른쪽 포인터 필드를 스레드로 사용하는 제한을 가정함
- 어떤 노드의 왼쪽 포인터가 실제 왼쪽 자식을 가리키면(실선) 그대로 두고
- NULL이면 전위 순회로 순회할 때 다음으로 순회되는 노드(후행 노드)를 가리키도록(점선) 지정함
스레드 트리 순회, 삽입, 삭제
중위 순회 스레드 트리
typedef struct thNode {
struct tfNode *left;
char data;
struct tfNode *right;
int threadFlag;
} tfNode;
void inorderStart(tfNode* start) {
if(ptr == NULL) return NULL;
while(ptr -> left != NULL) ptr = ptr -> left;
return ptr;
}
void inorder(tfNode* root) {
tfNode* ptr = inorderStart(root);
while(ptr != NULL) {
printf("%c", ptr -> data);
if(ptr -> threadFlag) // 오른쪽 포인터를 스레드로 사용함
ptr = ptr -> right;
else ptr = inorderStart(ptr -> right);
}
}
스레드 트리 삽입
typedef struct thNode {
struct tfNode *left;
struct tfnode *lthread;
char data;
struct tfNode *right;
struct tfnode *rthread;
} tfNode;
void insert(tfNode *x, tfNode *y) {
y -> left = NULL;
y -> right = x -> right;
y -> lthread = x;
y -> rthread = x -> rthread;
x -> right = y;
x -> rthread = y;
}
스레드 트리 삭제
삭제된 노드의 자식 노드를 처리하는 방법이 필요함
- 노드의 자식 노드를 모두 삭제하는 방법
- 삭제하려는 노드 x의 왼쪽 서브 트리나 오른쪽 서브 트리의 루트를 x가 있던 위치로 옮기는 방법
- 잎 노드가 아닌 노드를 삭제하지 못하게 하는 것
'DataScience > Data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선택 트리, 숲, 이진 트리 개수 (0) | 2023.12.04 |
---|---|
[자료구조] 힙 (1) | 2023.12.04 |
[자료구조] 연결 리스트 (0) | 2023.11.20 |
[자료구조] 큐 (1) | 2023.11.19 |
[자료구조] 스택 (0) | 2023.11.17 |